-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2장 국제개발협력과 역사책 2021. 7. 15. 22:21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2장 국제개발협력과 역사 1. 1940~1950년대 1)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개발 본격화 1940년대 이전 : 국제적십자사나 교회 중심 1943 UN 구제부흥기관 : 서유럽의 난민구호 활동 -> 1945 국제난민기구 -> 1952년 UN 난민기구에 편입되면서 해체 1945 UN 설립 -> WHO, 유니세프 등 설립 브레턴우즈협정(미국 달러를 기축통화로) -> 1945 국제부흥개발은행(IBRD) 냉전체제 1) 미국 마셜플랜 1948-1952 서유럽복구 -> 1948 유럽경네협력기구(OEEC) -> 1961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로 발전적 해체 2) 소련 몰로토프 플랜, 경제상호원조회의(COMECON, 경제협력과 군사적 공동 방위력 결집) 영국,캐나다,호주..
-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1장 국제개발협력과 ODA책 2021. 7. 14. 16:42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1장 국제개발협력과 ODA 1. 지구촌 빈곤의 이해 글로벌 시대, 불평등 심화 불평등은 인권실현 박탈 또는 제한, 자원의 비효율성 초래, 경제성장 방해, 빈곤 감소 방해 빈곤 : 기본적 욕규가 충족되지 못한 결핍 상태 (절대빈곤, 차상위 빈곤, 상대적 빈곤) 아마르티아 센, 기능functioning과 역량capability으로 빈곤 구분 빈곤원인 : 경제적(소득부족), 정치적(목소리x), 인적(건강, 교육 등), 사회문화적(사회참여x), 보호적(안전, 사회적 시스템) 2. 국제개발협력과 ODA 이해 국제개발협력 : 국가 간, 내 개발격차 줄이고, 개도국 빈곤과 불평등 해소하며, 개도국 사람들이 인권을 누릴 수 있도록 국제사회의 구체적인 노력과 행위. 과거엔 개..
-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- 6장 젠더책 2021. 7. 13. 08:30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- 6장 젠더 1. 개발과 젠더 논의의 등장배경과 전개과정 1)섹스 / 젠더의 차이 생물학적 성차 / 사회적 성차 불변 / 변화가능 역사 문화 차이 없이 존재 / 시대에 따라 변화 예시) 임신, 전립선 / 여성의 아이돌봄 역할 강조 2) 1975 멕시코에서 UN 제1차 세계여성회의 개최 WID > WAD > GAD > 성주류화 : 모든 정치 경제 사회적 영역 정책과 프로그램에 GAD의 성평등 관점을 통합하여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개발에 따른 혜택을 받고 불평등이 조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략. 2. 21세기 국제개박협력과 성 주류화의 진전 성평등과 여성 임파워먼트 MDGs 3번째 -> SDGs 5번째 최근 주목받는 세가지 정책영역 1) 성인 여성과 소녀들에 대..
-
ODA 자격증 관련 정보 / 시험 준비물 / 합격기준 / 제7회 ODA 자격증 공부 안 하고 본 결과취준&자격증 2021. 7. 12. 18:51
ODA 자격증 관련 정보 / 시험 준비물 / 합격기준 / 제7회 공부 안 하고 시험 본 결과 제 블로그에 요즘 ODA 시험을 앞두고 들어오시는 분들이 많이 계시네요~ 저는 ODA 시험 재수생입니다... 그래서 이번 주 제 8회 ODA 시험을 앞두고 준비물을 한 번 더 점검해보려고 합니다!! ****준비물**** 수험표, 신분증, 컴퓨터용 싸인펜, 수정테이프, (손목시계) 요즘 자격증 시험을 여러 개 동시에 보다보니 준비물이 헷갈립니다..ㅠㅠ 토익같은 건 연필로 해야하는데,, 다시 컴싸 챙기기!!!!! 신분증은 규정신분증으로 준비하셔야 하니 아래 참고해주세요! ****시험 관련**** 문제 수 : 각 과목 당 40문제씩 총 80문제 시험시간 : 과목 합쳐서 100분(1시간 40분) 입실은 꼭 9시 50분까..
-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- 5장 환경책 2021. 7. 12. 14:59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- 5장 환경 1. 환경과 국제개발협력의 중요성 환경오염 -> 환경문제, 기후변화, 자원고갈 1972 UN인간환경회의(스톡홀름회의) : 환경문제 국제적 어젠다로 다룬 최초의 회의 1983 UN세계환경개발위원회 : 1987 지속가능발전 개념 제시(우리 공동의 미래) 1992 UN환경개발회의(리우회의) : 리우협약(기후변화협약, 생물다양성협약, 사막화방지협약), 리우선언과 의제21 2002 세계지속가능발전정상회의 : 의제21점검 했지만 불만족 수준이라서 요하네스버그이행계획 채택 2012 UN지속가능발전회의(리우+20회의) : 녹색경제와 지속가능발전 제도적 틀 마련(우리가 원하는 미래) 빈곤층이 기후변화에 더 취약함. 사회개발 중시하던 MDGs에서 경제 환경 관련 목표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