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- 8장 빈곤책 2021. 7. 17. 23:50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- 8장 빈곤 1. 빈곤의 이해 빈곤에 대한 접근법 : 금전 중심 접근법, 역량 중심 접근법 빈곤의 다차원성 : 보호적, 경제적, 인적, 정치적, 사회문화적 국제기구에서 인식하는 빈곤 : 물질적 차원보다 더욱 확대된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정의, 박탈 상태로 봄. 2. 국제 빈곤 분석 빈곤선 국내빈곤선 : 개인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의식주와 관련된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선. 주로 식량 및 에너지 섭취 기반으로 산정, 기본 욕구 충족비용을 기반으로 산정 국제빈곤선 : 여러 국가를 비교하여 빈곤 감소 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, 불평등 측정 1) 소득점유율, 쿠즈네츠 비율 2) 로렌츠곡선 3) 지니계수 3. 국제 빈곤 현황 및 동향 절대빈곤 감소 추세 2012년 절대 빈..
-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- 7장 인권책 2021. 7. 17. 17:48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심화편 - 7장 인권 1. 인권의 이해 인권 : 인간이 인간답게 사는 데 필요한 당연하고 정당한 권리 특성 : 보편성, 불가분성과 상호의존성, 평등과 비차별, 법치 분류 : 시민적권리, 정치적권리, 경제적권리, 사회적권리, 문화적권리 권리의 구성요소 : A 권리의 주체, B 의무의 주체, C 권리의 근거, D권리의 내용 ex. 권리주체 A가 의무주체 B에게 C를 근거로 권리 내용인 D를 주장한다 2. 인권과 국제개발협력 빈곤에 대한 인권적 접근과 정의 ex. 아마르티아 센 - 빈곤은 권리의 박탈로 기본적 자유 3. 인권기반 접근 국제개발협력 인권기반 접근(HRBA) : 3요소(인권, 기반, 접근) : 빈곤과 개발을 다루는 틀 HRBA에서 고려해야할 인권 원칙 PANEL ..
-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5장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책 2021. 7. 17. 17:44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5장 한국의 국제개발협력 1.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& 2. 공적개발원조(ODA) 공여국으로의 대한민국 & 4. 국제개발협력과 대한민국의 위상 및 역할 1940,50년대 해방 및 전후 원조 엄청 받음 1960,70년대 북한과의 외교 경쟁 1960년대 공공 및 상업 차관 증가, 성공적인 외자도입 1963년 연수생 초청으로 개발원조 시작 1980,90년대 경제 연 평균 8% 이상 경제성장 1991 코이카 설립 2009 OECD DAC설립이래 최초로 개도국 출신 회원국 2010 국제개발협력기본법 제정 2010 G20 정상회의 개최 2011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 개최 2014 ODA/GNI 0.14% (OECD DAC평균 0.29%) 3. 대한민국의 국제개발협력 체제..
-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4장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책 2021. 7. 16. 21:06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4장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1. 양자 공여국 UN권고는 ODA는 GNI의 0.7% 제공 기준이상은 2013년 기준 노르웨이, 스웨덴, 룩셈부르크, 덴마크, 영국 절대적 원조액 크기 기준은 미국>영국>독일>프랑스>일본 신흥공여국, 남남협력, 개도국 연대를 통한 새로운 국제금융질서 구축 BRICS(브릭스, 브라질, 러시아, 인도, 중국, 남아공) 2. 다자개발기구 1) UN본부 및 산하기구 1945 UN 1948 WHO 세계보건기구 1953 UNICEF UN아동기금 1965 UNDP FAO UN식량농업기구 2) 국제금융기구 IMF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 그룹(국제부흥개발은행(IBRD), 국제개발협회(IDA), 국제금융공사(IFC), 국제투자보증기구(MIGA),..
-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3장 국제개발협력 최근 동향과 이슈책 2021. 7. 16. 10:31
ODA자격증 공부 : 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3장 국제개발협력 최근 동향과 이슈 1. 새천년개발목표(MDGs)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(SDGs)로의 변화 1) MDGs 의의 측정가능한 지표 제시(기초조사, 모니터링, 성과평가) & 개도국 국가 발전 목표 수립의 기준점이 됨. 2) MDGs 한계 사회개발과 인간 중심 패러다임으로 변화하며 경제 개발을 위한 필수요소 등한시 & 국가별 불평등에 대한 고려 미흡 & 개도국 이행이 전제되나 수립과정에 개도국 입장 반영 x & 정성적 평가 x 3) SDGs 수립 과정 1 UN작업반 : 4대핵심요소 사회, 경제, 환경, 평화와 안보 2 UN고위급패널 : 목표치 확정x(국가별 현실적인 목표치 설정하라는 의미) 3 100만명의 목소리 4 UN 공개 작업반 : 콜롬비아 정부가..